본문 바로가기
기타

중국 사학사 간단 정리, 6. 송대 사학

by 엽미술 2021. 6. 22.
728x90
반응형

 송나라 때는 사대부 계층이 대두되며, 경제가 발달하고 사회가 개방되었다. 동시에 과학 기술이 발달하고 이러한 지식이 보급되었다.

  도전건차(島田虔次)의 설에 따르면, 이 때의 송학은 정통주의,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이상, 사변주의라는 크게 세가지의 특징을 가졌다.

  •  정통주의 : 불교나 도교와 같은 다른 사상에 배타적이고 비판적이었다.
  •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의 이상 : 수기치인의 입장으로, 이는 강한 참여 의식을 끌어냈다.
  •  사변주의 : 경전에 대해 묵수하는 입장이 아니라 자유주의적 해석을 하는 것이었다. 이는 곧 가치관의 문제를 중시하는 풍조를 만든다.

이런 풍조이 생기자, 송대의 학풍에 있어서도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변화가 일어났다.

  •  문체의 변화 : 고문이 자리잡았다.
  •  금석학의 발달 : 구양수의 『집고록발미』, 유창의 『선진고기도』 등으로부터 금석 연구의 기초가 세워졌다. 하지만 이의 적극적 활용은 청대 고증학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  목록학이 발달하였다.

 송대 사학에서는 경학이 영향이 나타나며 당 시기와 다른 특징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미 남북조부터 당에 이르며 관찬 체계가 정착되었었으나, 송대에 이르러 다시 사찬이 유행하기 시작한다. 또한 사기나 한서 이후로는 단대사가 주류였으나 송에 이르러 다시 통사가 유행했고, 또한 일가서 경향이 부활했다. 우리가 이전에 봤던 『자치통감』, 『통감기사본말』,『통지』그리고 『통감강목』 등이 이에 해당했다.

728x90
반응형

댓글